삼일절 공휴일 삼일절 의미, 태극기 게양, 삼일절 노래
3·1절은 우리나라 5대 국경일의 하나로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일본 제국의 지배에 항거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3.1 운동 (기미독립운동)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공휴일 2024년 삼일절 3·1절의 의미와 삼일절 노래, 태극기 게양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삼일절(三一節,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1919년 3월 1일 정오를 기하여 일제의 압박에 항거, 전세계에 민족의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온 민족이 총궐기하여 평화적 시위를 전개한 날입니다.
1949년 정부가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 공포하여 이 날을 국경일로 정하였으며,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공휴일로 지정해 우리 민족의 숭고한 자주독립정신을 영원히 기념하고 있습니다.
삼일절 의미
1919년 3월1일 독립운동 이듬해인 1920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매년 3월 1일을 '독립선언일'로 지정하여 국경일로 기념하기 시작했습니다.
해방 이후인 1946년에는 미군정 군정 법률 제2호를 통해 '국가경축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인 1949년에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통해 계승되었습니다.
매년 3월 1일 삼일절이되면 나라를 위해 몸숨을 바쳐 지금의 대한민국을 존재하게 해주신 독립운동가들을 위해 묵념을 하고 숭고한 뜻을 되새기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되새김니다.
2024년 삼일절은 몇주년?
2024년 삼일절은 105주년을 맞이했습니다.
3.1절 100주년 행사
2019년 3월 1일 3.1절 100주년을 맞이하여 전국 각지에서 행사가 개최됐으며 그 중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는 정부서울청사를 비롯한 인근 건물에는 대형 태극기가 게양되었습니다.
대통령과 각부 장관, 각계 인사와 시민 약 1만 명이 참석하였으며 국민대표 33인의 행진과 독립선언문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이 진행되었습니다.
독립유공자 334명에 대한 포상에서는 유관순 열사에게 최고 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된 날이었습니다.
태극기 게양하는 날, 방법
삼일절에는 가정과 기업에서도 태극기를 게양하며 이 날을 기념합니다.
태극기 게양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태극기 게양하는 날
5대 국경일인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이 있으며 국국의 날 또는 정부지정일입니다. 이 때 태극기의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합니다.
조기 다는 날
현충일, 국장기간, 국민장 및 정부지정일에는 조기를 다는데 태극이의 세로폭만큼 내려서 달아야합니다.
삼일절 노래
삼일절 노래 듣기 악보와 가사
삼일절 노래와 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미년 삼월 일 일 정오
터지자 밀물 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삼천만이 하나로
이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한강 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
선열하 이 나라를 보소서
동포야 이날을 길이 빛내자